잡다

[Make] make 할 때 컴파일 속도 향상법(make -j)

Young-Cow 2021. 6. 22. 17:53

make 컴파일 속도 향상

Github

make 컴파일 속도 높이는 방법

리눅스에서 프로그래밍을 하는 개발자라면 make 명령어를 사용할 일이 많다.

좋은 스펙의 서버에서 작업을 하더라도 컴파일 할 때 그냥 make clean; make 때리고 컴파일이 끝나길 하염없이 기다리는 경우가 있는데,

병렬처리를 통해 컴파일 속도를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옵션인 -j 를 이용하면 신세계를 맛볼 수 있다.

make 병렬처리 옵션 -j 사용법

-j [jobs], --jobs[=jobs]
    동시에 실행할 작업의 수를 지정한다.
    둘 이상의 -j 옵션이 있는 경우 마지막 옵션이 적용된다.
    -j 옵션이 인수 없이 제공된 경우 make는 동시에 실행할 수 있는 작업 수를 제한하지 않는다.

make -j 뒤에 동시 실행할 작업의 수를 숫자로 주면 된다.

인수로 주어진 숫자만큼 프로세스가 생성된다고 보면 될 것 같다.

즉, make -j 8 로 수행 시, 8개의 프로세스가 생성되어 병렬로 컴파일 한다.

그럼 내 서버에서는 프로세스 숫자를 얼마나 주는 게 좋을까?

아래 예시를 통해서 확인해보자.

사용 예시

-j 옵션 없이 수행

진행 중인 프로젝트 소스를 make 에 별다른 옵션을 주지 않고 컴파일해보았다.

time 명령어를 이용하여 time make 로 수행하면 make 명령어의 수행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.

make 수행 시간1

약 _1분 31_초가 걸렸다.

-j 옵션과 함께 수행

nproc 명령어는 사용 가능한 프로세싱 유닛의 숫자를 출력한다.

테스트 서버의 nproc 명령어 결과는 32 로 32개의 프로세싱 유닛이 사용 가능하다.

그렇다면 32개의 프로세스를 전부 활용하여 컴파일하면 얼마나 빠를지 아래와 같이 옵션을 주어서 수행해보자.

make -j `nproc`

수행 결과는 아래와 같다.

make 수행 시간2

17초 로, 무려 1분 14초(약 81 %) 감축되었다.

생각해볼 내용

make -j 8 로 컴파일하면 수행 시간은 아래와 같다.

make 수행 시간3

약 21초로 24개의 프로세싱 유닛 차이에 비하면 시간 차이는 크게 나지 않는데, 정확한 이유는 잘 모르겠다.

혹시 다른 작업이 병행되고 있는 서버에서 컴파일을 진행한다면, 프로세스를 많이 생성하는 것보다 적당히 생성해서 무리가 가지 않게끔 적당한 숫자를 임의부여 하는 것도 괜찮은 방법처럼 보인다.

주의사항

병렬 처리에 따른 의존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. 이는 Makefile 을 작성할 때 필수적으로 확인하여야 하는 부분이므로 주의해야 한다.

참고 자료

728x90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