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1/05 4

[macOS] 파인더(finder) 숨겨진 파일, 숨은 폴더 확인 하는 법

macOS에서 숨겨진 파일, 숨은 폴더 확인 하는 법 첫 번째 방법, 파인더(Finder)에서 숨겨진 파일 보기 파인더를 연다. 숨겨진 파일, 폴더가 위치한 디렉토리로 이동한다. 키보드에서 Cmd + Shift + . 를 누른다. macOS Sierra 이전 버전을 사용 중이라면 이 단축키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, 아래의 방법들을 이용해야 한다. 두 번째 방법, 터미널(Terminal)에서 숨겨진 파일 보기 터미널을 연다. 숨겨진 파일, 폴더가 위치한 디렉토리로 cd 명령어를 이용해 이동한다. ls -a 명령어를 이용하여 확인한다. +@, 파인더(Finder)에서 숨겨진 파일 표시 활성화 하기 터미널을 연다. 아래의 명령어를 원하는 설정에 맞추어 입력한다. 숨김 속성의 파일과 폴더가 보이도록 설정하기 de..

잡다 2021.05.29

[Linux] 공유 메모리 함수, shmget(), shmat(), shmctl(), shmdt()

특이한 문법을 쓴 것도 아닌데 티스토리가 마크다운을 제대로 못보여주는 것 같다.. GitHub에서 좀 더 깔끔하게 볼 수 있다. 공유 메모리 함수 (Shared Memory Functions) 공유 메모리(Shared Memory)란? 공유 메모리(Shared memory)는 컴퓨터 환경에서 여러 프로그램이 동시에 접근할 수 있는 메모리이다. 과다한 복사를 피하거나 해당 프로그램 간 통신을 위해 고안되었다. 환경에 따라 프로그램은 하나의 프로세서에서나 여러 개의 프로세서에서 실행할 수 있다. (예를 들어 여러 개의 스레드 간에) 하나의 프로그램 안에서 통신을 위해 메모리를 사용하는 일은 일반적으로 공유 메모리로 부르지 않는다. wikipedia 멀티 프로세스 환경에서, 프로세스 간 통신(Inter-Pro..

Back-End/Linux 2021.05.26

[C] 구조체 비트 필드(Bit Field)

C언어 구조체 비트 필드 (Bit Field) 구조체의 기능 정수형 데이터를 비트 단위로 나누어서 사용할 수 있다. 이를 구조체의 Bit Field 라고 한다. struct 구조체명 { unsigned 정수형 이름1 :비트수 ; unsigned 정수형 이름2 :비트수 ; ... };사용 가능한 정수 자료형의 종류 char short int long double, float 과 같은 실수 자료형은 사용할 수 없다. 사용 예시 PLMN ID ( MCC + MNC ) struct PlmnId { uint8_t mcc1 :4; uint8_t mcc2 :4; uint8_t mcc3 :4; uint8_t mnc3 :4; uint8_t mnc1 :4; uint8_t mnc2 :4; }; 이 Bit Field 구조체는..

Language/C 2021.05.23

[Linux] tar 명령어 사용법

1. tar 명령어란? tar 명령어는 여러 개의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묶거나 풀 때 사용한다. 여러 개의 파일을 묶을 때, 윈도우나 맥에서 보통 압축을 하기 때문에 tar 도 '압축한다' 라고 말하는 경우가 많은데, 정확하게 말하면 tar 명령어 자체는 '압축' 을 하지 않고 여러 개의 파일을 하나로 묶는 동작만 수행한다. 그렇지만 tar 명령어를 이용해서 gzip이나 bzip2 와 같은 압축 방식을 이용하여 파일들을 하나로 묶을 수 있는데, 그래서 tar 명령어는 '압축한다' 라고 말해도 틀린 말은 아니다. 2. tar 명령어 사용법 tar [OPTION...] [FILE]... tar -cf archive.tar foo bar # foo 와 bar 파일을 묶어서 archive.tar 파일 생성 ta..

Back-End/Linux 2021.05.01
728x90
반응형